PC의 부팅 버튼을 누르고 바탕화면으로 진입하려면 사용자 계정에 지정된 암호를 입력해야 하는데 다른 사람이 함부로 PC를 쓸 수 없도록 하려면 아무래도 로그인을 거치도록 설정을 해두는 것이 좋겠지만 혼자서 사용하는 PC라면 이런 과정은 귀찮을 수 있죠? 그래서 부팅 버튼만 누르면 별도로 암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바탕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설정을 바꾸려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간단한 내용만 알아두면 언제든지 세팅을 조절할 수 있으며 윈도우10 로그인 삭제 암호 설정 해제로 과정 없애기 방법을 아래 자세히 적었으니 필요할 때 읽고 적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우선 키보드에서 [윈도우 키 + R]을 눌러줍니다. 그럼 실행 화면이 작업 표시줄 왼쪽에 켜지게 되는데 명령어를 적어주는 부분에 [netplwiz]를 입력하면 됩니다.
실행창을 띄우고 명령어를 적어주는 것은 워낙 간단해서 제가 자세하게 설명을 하지 않아도 괜찮겠지만 그래도 윈도우10 암호 설정을 바꾸는데 필수적인 과정이라 그냥 넘어가는 것은 아쉽군요. 그래서 위에 제가 쓰는 컴퓨터에서 실행 화면을 띄운 모습을 올렸으니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좌우간 적절한 명령어를 입력했다면 사용자 계정 화면이 켜질 것입니다. 그리고 사용자 탭에서 상단을 보면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이라 적힌 항목이 있는데 이 부분의 체크를 없애주면 됩니다.
체크를 없앤 다음에는 적용을 누릅니다. 그럼 기존에 사용하던 계정의 암호를 입력하는 작은 상자가 나오며 그 부분에 내용을 채워주기만 윈도우10 로그인 암호 삭제는 완료가 됩니다. 사실 정확하게 얘기를 한다면 윈도우10 로그인 없애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자동으로 로그인이 되도록 하는 설정이죠. 어쨌든 비밀번호를 두 번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주면 됩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성공적으로 적용했다면 앞으로는 부팅을 할 때 비밀번호를 적는 과정이 없을 것입니다. 혹시 적절하게 윈도우 암호해제가 반영되었는지 확인해보고 싶다면 지금 바로 재부팅을 해보시면 됩니다. 로그인을 하는 화면은 동일하게 모니터에 띄워지지만 암호는 자동으로 입력이 될 것입니다.
여담으로 지금까지의 내용은 윈도우10을 기준으로 했지만 사실 윈도우7이나 8 혹은 8.1을 쓰는 분들께서도 동일한 과정으로 적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니 다른 컴퓨터에도 똑같은 세팅을 해보고 싶다면 같은 절차를 통해서 윈도우 시작 암호를 없애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혹시 윈도우10 로그인 삭제를 하는 것이 아니라 암호를 바꾸고 싶었던 분들이라면 [시작 버튼 >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 탭 > 계정 암호 변경의 변경 버튼]을 순서대로 누르면 됩니다. 그럼 이쯤에서 이번 윈도우10 로그인 암호 삭제를 하는 작업에 대한 글은 갈무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