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_member 프로세스 종료와 삭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v_member 이름의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삭제하는 과정



설치한 기억이 없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자리를 잡았고 자동으로 실행되며 리소스를 먹는다면 아무래도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죠? 그래서 낯선 프로세스를 알아보려 이름을 검색해보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제목에 적어둔 도구가 문제라면 그냥 지워주면 됩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그리드이고 방치하면 컴퓨터가 느려질 뿐 아무런 도움도 안됩니다. 고로 지워주는 것이 상책입니다. 다만 제어판의 프로그램 제거 목록에는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방법을 알아둬야 제거가 가능하죠. 그래서 글을 적었습니다. 혹시 삭제 과정이 필요하다면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우선 프로세스 종료를 해주어야 하는데 워낙 익숙한 내용이라 따로 설명을 하지 않아도 무난히 종료를 하실 수 있겠지만 그래도 조금만 얘기를 하자면 키보드의 [Ctrl + Alt + Del]을 누르고 작업 관리자를 켭니다.



작업 관리자를 실행한 다음에는 실행 목록이 자세히 표시될 수 있도록 버튼을 누르고 v 계열의 프로세스를 선택한 뒤 작업 끝내기를 클릭하면 됩니다.





프로세스를 종료한 다음에는 64비트의 운영체제에서 [C드라이브 > Program Files(x86) > v_service]를 순서대로 진입합니다. 32비트를 쓰는 분들이라면 (x86)이 없는 그냥 Program Files로 진입하면 됩니다.





앞서 얘기한 폴더로 들어가면 고맙게도 uninstall 파일이 있습니다. 물론 실행해서 삭제를 해주면 됩니다. 일반적인 그리드 프로그램은 제거 과정이 훨씬 까다롭게 재발을 막기 위해 설정도 바꿔주어야 하는데 이번 글의 주제가 되는 프로세스는 그나마 간단하게 지워줄 수 있어서 당행인 듯합니다.





좌우간 이렇게 불필요한 도구를 지우고 PC를 관리하면 됩니다. 하지만 완벽하지는 않죠. 혹시 조금 더 꼼꼼한 PC 관리를 원한다면 아무래도 최적화 도구를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많은 종류를 써봤지만 [Wise Care 365]와 [Glary Utilities]의 궁합이 좋더군요.


icometosleep.tistory.com/163


기왕이면 최적화 도구 활용 노하우도 함께 정리를 해두면 좋을 텐데 한 번에 많은 내용을 전달하면 글이 복잡해질 것 같아서 최적화 도구에 대한 내용은 다른 글로 설명을 대신하겠습니다. 지금까지 v_member와 관련된 정보를 엮어봤는데 간단한 팁에 불과한 글이었지만 참고 수준은 될 수 있었길 바라며 저는 이쯤에서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