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셋에서 마이크의 증폭과 소리의 볼륨 수준 조절하기
컴퓨터에 장치를 연결한 뒤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기본 소프트웨어를 준비해주어야 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설정도 해주어야 하는데, 장치의 설정 방법을 모르겠다면 정보를 수집하고 적용하면 됩니다. 물론 헤드셋 마이크 증폭을 하는 것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죠.
그럼 마이크 소리 조절은 어떻게 하는고 하니, 운영체제의 기본 기능을 활용하면 충분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들은 아래에 엮었으며, 헤드셋 마이크 볼륨을 바꾸고 싶었지만 절차를 몰라서 방황했다면 읽어보시며 소리 증폭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과정은 유사하니 윈도우10을 기준으로 얘기하겠습니다. 우선 작업표시줄 오른쪽의 스피커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으로 누릅니다.
우 클릭을 하면 몇 가지 항목들이 나열되는데, 중간쯤에 있는 녹음 장치를 찾아서 클릭하거나 키보드의 [R]을 눌러주면 됩니다.
버튼을 누르고 설정 화면이 켜졌다면, 설정을 바꾸고 싶은 장치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우측 하단의 속성을 눌러줍니다. 저는 내부 마이크를 바꿔보겠습니다.
속성 화면이 실행되면 상단의 수신 대기 탭을 누릅니다. 그리고 중간에 있는 이 장치로 듣기 항목의 체크를 해줍니다. 이어서 수준 탭을 누릅니다. 그리고 배열과 증폭을 원하는 수치로 조절하면 됩니다. 증폭은 너무 심하게 높이면 울림이 커지고 소리가 깨지니, 0이나 10이 적당하고 배열은 볼륨이니 기호에 맞게 설정하면 됩니다.
여담으로 효과 탭을 누르면 잡음을 잡을 수 있는 항목이 있으며, 필요하면 항목 체크를 해주면 됩니다. 그리고 상대방이 아니라 내가 듣는 소리를 바꾸고 싶을 땐, 작업표시줄에서 재생 장치를 선택하고 수준을 조절하면 됩니다.
그리고 설정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면 단자의 연결 상태나 드라이버의 재설치를 해볼 것을 권장합니다. 장치 자체적인 고장이 아니라면 두 가지를 체크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오류가 잡힐 것입니다.
각설하고 헤드셋 마이크 증폭을 바꾸고 싶을 때 운영체제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을 적어봤는데, 클릭해야 할 부분을 몇 가지 알려드린 것이 전부였지만 그래도 헤드셋 소리를 세팅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수준의 정보는 될 수 있었길 바라며 저는 여기서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